[스크랩] 사계절 월별 양봉관리(안경강)
월별 양봉관리 방법
□ 2월의 관리
○ 2월중하순경 온도가 10℃정도 되는 맑은날에 월동내검(첫내검) 실시
○ 먹이의 과부족을 확인하고 먹이가 부족한 벌통은 저밀소비를 지원
○ 개포만 살짝 열어보고 소비를 꺼내 내검하는것은 도봉피해가 발생하므로 삼가
○ 화분공급은 화분떡을 1군당/1~2kg을 벌집위에 올려놓고 비닐개포를 덮은다음 천개포를 덮는다.
(비닐개포크기는 벌통상단면적의 80~90%)
○ 화분소요량은 1주일에 0.5~1kg정도로 1회에 2kg 정도를 공급하면 2주일에 한번씩만 공급하면 되므로 편리하며 봄철에
인공화분 소요량은 1군당 3~6kg정도이다.
○ 물공급은 내검시 벌통내사양기를 이용하고 평상시에는 소문사양기를 이용한다.
○ 응애구제는 월동내검시 왕스를 소비사이에 1~2매씩을 소비사이에 끼워두는 방법이 좋으며,옥살산흘림방식
(설탕1kg+물1리터+옥살산75g용액)으로 소비1매당 4~5cc씩 처리하거나 비넨볼을 소비1매당 1cc씩 처리한다.
○ 축소작업은 소비를 꺼내지 않고 격리판을 원하는 장소에 삽입하고 벌을 털어서 축소하는 것은 도봉 및 동사의 원인이
되므로 삼간다(5~6매월동벌→2~3매로 축소)
○ 보온물 추가는 속포장은 사양기뒤에 골판지 및 격리판으로 칸막이를 하고 신문지나 헝겊을 채워넣으며 화분떡을 주고나서
비닐개포 1매를 덮고, 외부포장은 보온덮게 2~3매를 추가로 덮어준다.
□ 3월의 관리
○ 먹이공급은 월동먹이를 이용하고 사양은 하지않은 것이 좋으며 먹이가 부족한 벌통은
먹이가 남는 벌통에서 저밀소비를 지원한다.
○ 저밀소비가 없으면 사양을 실시하는데 1회사양은 1홉정도로 적은량을 여러차례 나누어 주되 사양시간은 오후 4시정도에
실시한다.
○ 사양의 시작은 진달래가 피기시작(3월20일)하면 실시하는 것이 좋다.
○ 물공급은 내검시에 벌통내 사양기를 이용하고 평상시에는 소문사양기를 이용한다.
○ 인공화분은 진달래꽃 ~벚꽃필때까지 (3월하순~4월초순) 공급한다.
○ 병해충방제는 응애.노제마.부저병의 예방을 위하여 3월20일경 약제처리를 시작한다.
○ 노제마병의 예방을 위하여 3월20일경에 후미딜-B(25g/10리터)를 1~2차례처리한다.
○ 부저병 예방을 위하여 옥시마이신을 3월20일경 사양액에 희석하여 처리한다.
○ 응애구제는 왕스의 경우 3월20일부터 1주일간격으로 4회연속 처리한다.
※ 계상의 응애구제는 폴백스+왕스를 동시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.
□ 4월의 관리
○ 먹이공급은 4월초순에 월동먹이가 바닥나기전에 먹이를 주어야 하는데 이때 많이 주면 계상은 분봉열이 발생하므로 장려
사양 차원에서 1군/1홉정도가 적당하다.
○ 계상올리기는 봉충판이 6매가 되고 세력은 8매가 되면 계상을 올리고, 2층까지 70~80%정도 세력이 되면 3층을 올린다.
○ 계상을 올리고나면 당일은 온도유지를 위하여 충분한 먹이를 사양한다.
○ 응애구제는 3월하순부터 1주일 간격으로 4회연속으로 처리한다.
○ 4월초순 계상을 올리면 벚꽃에서 유밀이 될 경우 벚꿀을 채밀할 수 있다
○ 여왕벌 교체작업은 벚꽃이 피기 시작하면 여왕벌 교체를 위하여 인공이충을 한다.
○ 격왕판의 설치는 2층계상의 경우에는 1층과 2층사이에, 3층이상은 2층과 3층사이에 설치하여 1~2층은 육아실로, 3~4층은
저밀실로 사용한다.
□ 5월의 관리
○ 5월은 아카시아꽃이 피는 계절로 날씨만 좋으면 고정양봉(1층)도 아카시아꿀을 2차례 정도 채밀하여 3~5되정도 채밀이
가능하다.
○ 고정양봉(1층)으로 다량채밀을 목적으로 할려면 4월말~5월초가 되면 분봉열이 발생 하는데 여왕벌과 봉충판 2~3매를
꺼내 인공분봉을 시키고 원소상에는 좋은왕대 1개 만 남겨두어 신왕으로 교체되도록 한다.
○ 계상으로 채밀할 경우에는 격왕판 및 계상 설치시기는 유밀기 15일전이 최적기이며 1 층에는 유충소비2매와 여왕벌.소초
및 공소비를 삽입하고 2층에는 봉충판을 배치하여 1주일후에 계상의 변성왕대를 남김없이 제거해야 한다.
○ 3단이상 다단계상은 격왕판을 2~3층사이에 설치하여 1~2층은 육아실로,3~4층은 저 밀실로 사용한다.
(3단의 경우 1층만 육아실로 이용할 수도 있음)
○ 3단이상 다단계상의 격왕판 설치방법은 아카시아꽃피기 15일전에 1~2층에 공 소비와 여왕벌을 배치하고 3단이상은
봉충판을 배치하였다가 1주일후에 변성왕대를 제거하고 유밀이 되면 채밀하는 방법이 있다.
○ 3단이상 다단계상의 경우 분봉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밀이 시작되면 격왕판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고 여왕벌을 제거
하고 인공왕대를 붙여주는 방법이 있다.
□ 6월의 관리
○ 6월초(6월6일)에는 날씨가 좋으면 감꽃.때죽.찔레등에서 잡화꿀을 군당(단상) 1~2되 정도씩 채밀할 수 있으며 계상의
경우 4~5되정도 채밀이 가능하다.
○ 잡화꿀을 채밀하고 나서 밤꽃이 피기전에 응애약을 한차례 처리한다.
○ 밤꽃은 6.15~6.30까지 개화하는데 꿀의 분비는 암꽃이 피는 6월22일부터 시작되므로 장마가 늦게오면 1~2되정도의 밤꿀을
채밀할 수 있다
○ 밤꿀 채밀이 끝나면 곧바로 먹이를 주어야 벌들이 굶지 않으며 응애약도 지체없이 처리해야한다.
○ 아카시아 말기 및 잡화초기(영광지방 6월초순)에 인공이충 및 자연왕대를 이용하여 여 왕벌을 갱신한다.
□ 7월의 관리
○ 밤꽃이 끝나고 7월부터는 무더위와 장마가 시작되므로 벌을 나무그늘이나 준비된 봉사 로 옮겨야 무더위로부터 벌을
보호할 수 있다.
○ 7월이 오면 계속되는 장마와 더불어 산야에는 벌이 먹이로 삼을만한 꽃이 전혀없는 무밀기로 이 기간동안에는 처음
1~2주일간은 3일간격으로 먹이를 주고 다음주부터는 1주일 간격으로 먹이를 계속 주어야 한다.
○ 계상으로 월동코자 할 경우에는 식량의 안정을 위하여 저밀소비를 2~3매정도 항상 확보해야 하며 7월중에는 2매이상
저밀소비를 반드시 확보해야한다.(1주2회사양)
○ 밤꽃이 지고나면 7월한달은 장마가 계속되어 화분도 부족하므로 1주일에 1kg정도씩 계속 공급해야 계상으로 월동할 수
있 는 세력을 확보할 수 있다.
○ 7월중에는 응애약을 1주일간격으로 4회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.
○ 부저병의 예방을 위하여 사양액에 옥시마이신을 희석하여 공급한다.
○ 단상으로 월동하고자 할때는 계상군은 봉충판4매씩 나누어 인공분봉시켜 왕대를 붙여주고 신왕이 산란하면 응애구제를
1회만 실시해도 봉충판이 없기 대문에 효과적이며 원소상은 봉충판이 없는 공소비와 구왕으로 편성하고 응애구제를 실시
한다.
□ 8월의 관리
○ 먹이주기는 설탕1kg에 물1ℓ를 희석하여 1주일에 1회이상 준다
○ 먹이가 부족할때는 3일간격으로 2~3회 연속하여 사양해야 한다.
○ 먹이주기시에 벌통안에 들어있는 먹이통(광식사양기)은 7홉정도 들어가므로
설탕1kg/물1ℓ를 희석하여 주면 적당하다.
○ 부저병의 예방을 위하여 사양액에 옥시마이신을 계속 희석하여 준다.
○ 옥시마이신의 희석량은 25g/사양액10리터 정도가 적당하다.
○ 계상으로 월동할 경우에는 8월부터 월동먹이 주기를 시작하는데 8월말까지 3~4매의 저밀소비를 확보한다.
(1주2회사양)
○ 8월이 되면 가을왕양성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바꾸지 못한 구왕을 교체하고 내년도 계상육성군은 봄에 육성한
신왕이라해도 가을왕으로 바꾸어주면 더욱 효과적이다.
○ 단상으로 월동하는 봉군은 8월20일까지 세력을 보충하여 6매세력을 만들어야 충분한 월동자격군이 된다.
○ 8월 20일이 넘으면 여왕벌양성군은 편성하되 번식군은 편성하지 않는것이 월동하는데 유리하다.
□ 9월의 관리
○ 9월중에도 1주일에 설탕1kg/물1리터를 계속 사양해야 하며 9월하순으로 접어들면 3일에 한번씩으로 먹이주기 횟수를
늘린다.
○ 계상으로 월동코자 할때는 9월말까지 계상에 7~9매정도의 저밀소비를 확보해야한다.
○ 응애약을 1주일간격으로 4회연속처리한다.
○ 부저병 예방을 위하여 월동 사양액에 옥시마이신을 사용하고, 노제마병 예방을 위하 여 후미딜-B를 1~2차례 사용한다.
○ 9월초에도 가을왕을 양성하면 교미율이 좋고 지금까지 남은 구왕을 교체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.
□ 10월의 관리
○ 단상의 경우 10월이 되면 먹이주기는 월동먹이 주기를 해야한다.
○ 단상으로 월동하는 경우의 월동먹이 주기는10.1~10.15일까지 1군당 설탕7~8kg을 2 일간격으로 7~8회 공급하여 6매에
3/2정도 봉개 저밀이 되어야 한다.
○ 계상월동의 경우 월동먹이주기를 정리하면 7월에는 저밀소비2매, 8월에는 4매,9월에 는7매, 10월에는 계상에 7~9매, 1층의 6매에 3/1이상 저밀이 되게 사양을 해야 한다.
○ 10월말 봉충이 없을때 응애약을 한번정도 처리한다.
□ 11월의 관리
○ 월동포장
11월 중하순에 벌통의 아래와 옆,뒤,윗면을 비닐과 짚을 이용하여 따뜻하게
감싸 포장해주고 앞면은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두며 소문(벌문)은 3cm정도 열어준다.
○ 11월중하순(월동포장시)에 응애약을 한차례정도 처리하는데 옥살산 흘림방식이 간편하고 효과적이다.
○ 계상월동군은 1층과 2층사이에 왕스2매를 먼저 삽입하고 옥살산을 1층과 2층 모두 흘림처리해야 응애가 방제된다.
□ 12~1월의 관리
○ 특별히 할일은 없고 건드리지 않은 것이 가장 좋은방법이다.
○ 질식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따뜻한날 벌들의 내왕이 있을때 구부린 철사를 이용하여
벌통바닥에 떨어져 죽은 벌은 끄집어 내준다.
○ 내년도 양봉을 준비하고 1월이 되면 인공화분떡을 미리 준비한다.